#AI는생활이다 No.13 _250801. 리밸런싱!!
7월의 연구 테마, 카카오톡 채널 챗봇 개발 작업을 성공적으로 잘 마치고, 8월의 연구 테마를 뭘로 잡을까 하다가, 마침 공부하기 시작한 미국배당주 ETF 투자 전략 관련, 시장 흐름에 따라 매수 종목을 자동으로 추천해주고, 적정 매수 타이밍 캘린더를 만들어 알려주는 앱을 개발하는 것으로 정했습니다.
AI를 실전 주식 투자 운용에 적용하는 방안을 테스트해보자는 것이지요.
챗GPT의 도움을 받아서 우선 프로젝트를 개발해서 실효성을 검증해보고, 괜찮다고 판단되면 GPT 앱이나 Gem을 직접 만들어 써먹어보렵니다!
도전!!!
————————————–
이런 앱을 개발해보려면, 제일 먼저 상황과 맥락을 정확하게 AI에게 설명해줘야 합니다.
예시를 들어서 어떤 방향으로 접근하는지 제 사례에 비추어 대략적인 처리 프로세스를 정리해 드립니다.
예시를 들어서 어떤 방향으로 접근하는지 제 사례에 비추어 대략적인 처리 프로세스를 정리해 드립니다.
1. 기존 투자 내역을 모조리 뒤져서 보유 현황 및 손익 화면을 모두 캡쳐하여 업로드하고, 수익률 및 포트폴리오의 적정성을 분석해 달라고 한다.
2. 분석 결과에 준해 향후 미래 운용 방침에 대한 문제의식과 고민을 솔직하게 털어놓고 어떤 방향을 잡으면 좋을지를 진솔하게 묻는다.
(예: 국내 주식 보유분을 모두 손절 처분하고 잔여금을 해외 EFT로 갈아타는 게 맞을까?”)
3. 전체 확보 가능한 투자금액 총액을 제시하고 자신의 투자 성향에 따른 기본 포트폴리오 운영 원칙과 기본 조건을 제시한다.
(예: 초고배당주 : 고배당주 배분 비율을 3:7로 한다. 현금 보유율을 20%로 한다. 분산 분할 투자를 원칙으로 하고 기본 종목은 10가지로 제한한다. 리밸런싱은 분기 또는 반기 단위로 한다. 등등)
4. 기본 원칙을 제시한 뒤에, 투자 가능 총액을 기준으로 어떤 종목을 어떤 요소를 감안하여 며칠 간격으로 몇 회에, 얼마 기간에 걸쳐 매수하면 좋을지를 물어서 매수 캘린더와 우선 매수 종목과 매수 비율(금액)표를 만들어달라고 한다.
5. 이상의 캘린더와 매수 플랜이 정해지면 이 내용을 구글 시트에 주기적, 정기적으로 자동으로 입력하여 보유 현황 및 리밸런싱 계획표 시트를 자동으로 작성하게 한다. (구글 앱스크립트와 GCP API 지식이 필요함!!)
6. 만들어진 캘린더를 총액 포트폴리오 완성 기간(예: 2개월~3개월) 동안 꾸준히 실행하면서 시장 흐름과 AI의 권유 제안 추천이 얼마나 실효성이 높고 플러스 계좌로 유지되는지 검증하면서 투자 로직을 업데이트 최적화해 나간다.
(AI가 사람보다 데이터 분석이 빠른 것은 두말할 필요가 없지만 시장의 불확실성과 변동성에 대한 촉까지 사람보다 좋다는 보장은 없으니까!!)
—————–
이상입니다. 관련 참고할만한 프롬프트 지시 화면을 첨부해 놓습니다.
이런 초기 훈련 학습 작업은 실시간 웹검색 기능이 있고ㅡ 수많은 다른 이용자들이 유사한 질문을 충분히 했을 것 같은 챗GPT에게 맡기시고, 꼭 [프로젝트] 기능을 활용하시길 권장합니다. (Plus 이상 유료 가입자만 쓸 수 있는 기능임.)